8월 15일 광복절
일본에 빼앗겼던 주권을 되찾은 것을 기념하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경축하는 날이다.
태극기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 민족성을 나타내는 흰색 바탕에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태극 문양, 하늘, 땅, 물, 불을 상징하는 건곤감라 4괘가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태극기.
1883년 고종이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 공포하였으나,
당시에는 국기 제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 태극 문양과 4괘의 위치가
다른 다양한 형태의 태극기가 사용되었다.
광복 이후 1948년 태극기가 대한민국의 국기로 공식 재정되었고,
1949년 국기 제작법 고시를 통해 국기 제작 방법이 확정되었다.
지금은 2007년 대한민국 국기법에 정해진 공식 색상의 태극기를 사용하고 있다.
태극기는 국경일은 물론 1919년 독립만세를 외치던 날에도,
1945년 광복의 기쁨을 누리던 날에도,
1988년 제24회 서울 올림픽이 열렸던 날에도,
2002년 제 17회 한국, 일본 월드컵이 열렸던 날에도 창공을 휘날리며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을 함께했다.
- 데니 태극기
구한말 고종이 미국인 외교고문을 지낸 데니에게 하사한 것으로 알려진
태극기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시대 : 1890년 추정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불원복 태극기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전남 구례 일대에서 활약한 의병장 고광순이
사용한 태극기로, 머지 않아 국권을 회복한다는 뜻의 불원복 글자가 수놓아져 있다.
시대 : 1907년
소장 : 개인 소장
- 남상락 자수 태극기
독립운동가 남상락이 1919년 4월 4일 독립만세 운동에 사용하기 위해
부인과 같이 만든 태극기로 전체가 손바느질로 제작되었다.
시대 : 1919년
소장 : 독립기념관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태극기
1923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에 게양되었던 태극기로,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 등을 지낸 김붕준 선생과 부인 노명재 여사가 함께 제작했다.
시대 : 일제강점기
소장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김구 서명문 태극기
김구 선생이 1941년에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매우사 신분에게 준 태극기로,
바탕에 광복군에 대한 우리 동포들의 지원을 당부한 김구 선생 친필 묵서가 쓰여있다.
시대 : 1941년
소장 : 독립기념관
-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
한국광복군 제3지대 2구대에서 활동하던 문웅명(본명 문수열)이 간직한 태극기로,
바탕에 결의를 다지는 글귀와 서명이 빼곡하고 나라 사랑과 자유에 대한 굳건한
열망이 담겨있다.
시대 : 1945년
소장 : 독립기념관
출처 <엄마는 생각쟁이 AUG 2021 vol.260 웅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과 SNS가 현대 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2) | 2025.03.17 |
---|---|
2024년 운동 자주 합시다. 건강하자고요. (0) | 2024.01.06 |
영양제 제대로 먹고 있는 걸까? I am 영양제 (0) | 2023.10.28 |
김구 ( 내용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며 읽기) (0) | 2023.09.18 |
흥부전 (독서 감상문) (0) | 2023.09.17 |